예비창업자, 3년 이내 창업기업가(팀) 2차 320명 내외 선발
중소기업청(청장 주영섭)은 전국 40개 창업선도대학에서 7월 3일부터 21일까지 3주 동안 2017년도 창업아이템사업화 (예비)창업자 2차 모집에 들어간다고 밝혔다.
이번 2차 모집에서는 총 320명 내외를 선발할 예정이며, 후속지원과 지난 4월 마감한 1차 모집에서 선정된 703명을 포함하여, 금년도에 총 1,206명의 (예비)창업자를 지원할 계획이다.
금년 창업선도대학 모집분야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“기술중심”과 일반 ”아이디어 중심“으로 구분하며, 그 중 기술창업자 육성 목표*를 17년 전체 창업자의 40%(400개 창업팀)이상으로 상향 설정하고,
창업팀 구성과 투자유치 요건 등을 충족한 전문기술과제에 대해, 최대 1년간, 1억원 한도까지 사업화자금을 확대지원하여, 교수, 석․박사, 연구원 등 전문기술인력의 창업을 유도할 예정이다.
이번 모집을 통해 선정된 창업자는 총 사업비의 70%이내에서 최대 1억원까지 시제품 개발비, 마케팅 등의 사업비와 창업교육, 인프라를 지원하고 입소형 창업선도대학은 창업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한다.
특히, ‘바이오 특화 창업선도대학’으로 선정된 울산대는 전체 선정규모의 50% 이상을 바이오 분야 창업자로 선정하고, 서울아산병원 인프라(공간, 장비, 멘토링 등)를 활용하여 중점 지원한다.
아울러, ’11년부터 ’16년까지 창업아이템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아이템 성능개선 및 마케팅 등에 필요한 자금을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하는 후속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.
금년 창업아이템사업화 후속지원 창업자 선발 규모는 180명 내외로 창업자는 7개월 동안 총 사업비 내에서 지원분야별 과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.
지원분야별 과제는 ▲제품 성능개선(시제품 보완, 인건비) ▲홍보‧마케팅(전시참가, 홈페이지, 영상, 카탈로그 제작) ▲지식재산권 및 인증 등이다.
창업팀 구성과 투자유치 요건 등을 충족한 전문기술과제에 대해, 최대 1년간, 1억원 한도까지 사업화자금을 확대지원하여, 교수, 석․박사, 연구원 등 전문기술인력의 창업을 유도할 예정이다.
이번 모집을 통해 선정된 창업자는 총 사업비의 70%이내에서 최대 1억원까지 시제품 개발비, 마케팅 등의 사업비와 창업교육, 인프라를 지원하고 입소형 창업선도대학은 창업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한다.
특히, ‘바이오 특화 창업선도대학’으로 선정된 울산대는 전체 선정규모의 50% 이상을 바이오 분야 창업자로 선정하고, 서울아산병원 인프라(공간, 장비, 멘토링 등)를 활용하여 중점 지원한다.
아울러, ’11년부터 ’16년까지 창업아이템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아이템 성능개선 및 마케팅 등에 필요한 자금을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하는 후속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.
금년 창업아이템사업화 후속지원 창업자 선발 규모는 180명 내외로 창업자는 7개월 동안 총 사업비 내에서 지원분야별 과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.
지원분야별 과제는 ▲제품 성능개선(시제품 보완, 인건비) ▲홍보‧마케팅(전시참가, 홈페이지, 영상, 카탈로그 제작) ▲지식재산권 및 인증 등이다.
우수 창업자 발굴을 위해 전체 200회 이상(대학별 5회 이상)의 설명회를 집중 개최하여 전국적인 창업붐을 조성할 예정이다.
대학별로 “원스톱 창업상담창구”를 본격 운영하여 유망 창업가의 창업수요에 대응하고, 창업선도대학의 기술창업스카우터*(509명)를 통해 유망 기술창업자를 적극 찾아 나설 예정이다.
2017년 창업선도대학 창업아이템사업화 2차 및 후속지원 프로그램에 신청을 희망하는 (예비)창업자는 7월 21일(금) 오후 6시까지 K-스타트업(http://www.k-startup.go.kr)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을 완료해야 한다.
2017년 창업선도대학 창업아이템사업화 2차 및 후속지원 프로그램에 신청을 희망하는 (예비)창업자는 7월 21일(금) 오후 6시까지 K-스타트업(http://www.k-startup.go.kr)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을 완료해야 한다.
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청, 각 창업선도대학 또는 K-스타트업 홈페이지의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김정상 기자 sang@medinet.or.kr